[인포그래픽] 요즘 초등학생 용돈은 평균 얼마일까?
2025.11.11

초등학생 용돈은 월 평균 3만원!
용돈을 주 단위로 줄지, 월 단위로 줄지 고민이라면 주목! 학부모님 10명 중 6명은 ‘매주 용돈을 주고 있다’고 답했는데요. 매월 용돈을 주고 있다는 응답은 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렇다면 초등학생 용돈은 한달에 평균 얼마일까요?
조사 결과, 자녀에게 용돈으로 월 평균 30,740원을 주고 있었어요.

초등학생 용돈은 체크카드로 주고, 주로 군것질하는데 쓴다
자녀에게 용돈을 주는 형태로는 초등 학부모의 절반 이상이 ‘체크카드(충전식 카드)’로 용돈을 주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렇게 용돈을 받으면, 자녀는 ‘군것질, 간식을 사먹거나’ ‘문구나 학용품을 사거나’ ‘게임 등 여가 활동’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등학생 용돈 받기 시작하는 나이는 평균 8.4세
처음 용돈을 받는 시기는 평균 만 8.4세로 초등 2학년 무렵이에요. 이 무렵부터 하교 후 아이 스스로 학원을 가거나, 친구들을 만나는 등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시기가 늘면서 용돈을 주기 시작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독립적인 활동이 늘다보니,아이 스스로 돈을 사용하는 습관도 길러줘야겠다고 생각하게 되는데요.
실제로, 용돈을 주기 시작한 이유(복수응답)로 ‘자녀의 경제 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아이가 원해서'와 '아이 친구들도 용돈을 받기 시작해서' 순이었습니다.

경제습관 갖길 바라지만, 현실은 ‘충동구매’
초등학생 용돈 사용에 있어서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은 ‘계획 없이 충동구매하는 것’을 꼽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절약하지 않고 모두 써버리는 것, 절약하지 않고 모두 써버리는 것, 친구 비용까지 계산하고 정산받지 못하는 것 순이었죠.
아이가 학창시절을 보내면서 한정된 용돈 안에서 ‘사고 싶은 것’과 ‘사야 하는 것’ 사이에서 늘 고민하게 될 텐데요. 그럴 때야말로 스스로에게 진짜 도움이 되는 소비가 무엇인지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부모님이 함께 대화를 나누며 아이 스스로 선택과 집중의 기준을 세워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윤선생은 자녀를 키우는 부모님들의 고민을 늘 가까이에서 함께하며, 아이의 성장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배너를 눌러 우리 아이에게 꼭 맞는 현명한 선택 윤선생 영어 교육을 만나보세요!
※ 콘텐츠 활용 유의사항
- 홈페이지 내 학습후기 및 인터뷰, 전문가 칼럼에 대한 저작권은 윤선생 본사에 있으며, 일체의 무단 도용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 해당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초상권 등 관련 법률 위반으로 민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링크 URL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